Surprise Me!

[중점] '저금리 돈 잔치 끝'...과제는 가계빚 연착륙 / YTN

2017-12-01 0 Dailymotion

한국은행이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, 이주열 총재가 이제는 달라진 금융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초저금리 시대를 마감하고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1,4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빚의 이자 폭탄을 어떻게 해결할지가 중요한 과제입니다.<br /><br />박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<br /><br />[기자]<br />"그동안 저금리에 익숙해진 가계는 이제 달라져야 한다"<br /><br />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저금리 시대 돈 잔치가 끝났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 : 앞으로 차입을 한다든가 저축이나 투자를 할 때 이전과는 앞으로의 상황이, 앞으로의 여건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거기에 적응해 가는….] <br /><br />또 급증하는 가계부채를 잡기 위해서는 지금이 금리 인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올해 3% 성장률 회복이 확실시되고 국민소득 3만 달러가 임박했다는 우리 경제에 대한 자신감이 초저금리 시대에 마침표를 찍게 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금리 인상이 가계부채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수단인 동시에 가계에 엄청난 이자 폭탄을 떠안긴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특히 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의 대출이 많은 고위험가구와 생계형 자영업자 등 취약차주들은 부담이 더 큽니다.<br /><br />대출 금리가 단기간에 큰 폭으로 오를수록 고위험 가구 수의 증가 폭은 훨씬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[성태윤 /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: 특히 한계차주를 비롯해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져 있는 분들 그리고 자영업자들을 중심으로는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. 따라서 이런 분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같은 정책적 처방 역시 함께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.]<br /><br />또 금리 인상이 잇단 대출 규제 정책 등과 맞물려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특히 이미 발표된 부동산 대책이라든가 대출억제정책과 맞물릴 경우 주택시장이 부진에 빠지고 이것이 건설투자 경기를 향후 상당히 어렵게 만들면서 우리 경기회복에도 부담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]<br /><br />완화 기조의 축소라는 세계 금융시장의 흐름 속에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<br /><br />과제는 1,4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빚의 연착륙.<br /><br />전체적인 경기 상황을 봐 가며 금리 인상의 속도를 완만하게 조절해 충격을 최소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120205045535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